본문 바로가기

PowerBuilder

파워빌더란?

파워빌더는 4GL 언어입니다.

 

VisualBasic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필자는 파워빌더로 구축 된 ERP 시스템을 개발/관리/운영 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럼 파워빌더의 장점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파워빌더는 웹 기반의 언어가 아니며 C/S Application 개발용으로 적합합니다.

 

이에 웹서비스 목적으로 해당 언어를 선택 또는 사용하시기에는 부적절 합니다.

 

자 그러면 파워빌더를 쓰는 이유가 무엇이냐하면 개발생산성입니다.

 

왜냐하면 필자는 VisualBasic로 구축/개발 된 ERP 시스템도 개발/관리/운영을 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필자는 SAP FI 서티 자격증 보유와 ABAP 언어에 대한 이해도(실제 디버깅 및 소스코드 수정 등)도 있습니다.

 

그리고 웹기반의 그룹웨어 개발/관리/운영 경험도 있습니다.

 

이런 저에게 누가 뭐라 한다해도 얼마든지 반박할 수 있을만큼 파워빌더의 개발생산성을 정말 뛰어납니다.

(기준은 CRUD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제작입니다.)

 

예를들면 자바 또는 ASPX로 웹페이지(입력화면) 하나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파워빌더는 2~3개는 뚝딱 만들어낼만큼 개발생산성이 매우 뛰어납니다.(꼭 웹이 아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DW라는 DataWindow 개념이 기가막히게 좋습니다.

 

레포트 만드는 속도도 그 어떤 RD툴보다 간편하고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단, 디자인은 이쁘지 않습니다.)

(다만 DB 쿼리에 대한 작성능력은 어느정도 있어야 합니다.)

 

만약 파워빌더가 웹서비스 시대에 발맞춰 업그레이드만 잘 되었더라면 그리고 공격적인 마케팅이 진행되었더라면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많은 시장을 형성할 수 있었을텐데 개인적으로 매우 아쉽습니다.

 

Appeon이라는 솔루션을 통해 웹서비스(또는 모바일)가 가능하긴 하지만 IT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범용성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커리어를 쌓지 않을까 생각하네요. Appeon 은 개발 된 파워빌더 소스를 웹소스로 변경해주는것이기때문에 100% 호환성을 보장하진 못하지만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잘 안내했던거 같습니다.

 

참고로 필자는 Appeon도 사용해보았고 JBoss 기반에 300명 유져를 대상으로 서비스도 해보았지만 현재 파워빌더로 일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또다시 기회가 된다면 못할것도 없지만요.

 

결국 파워빌더가 Sybase에서 SAP에서 이리저리 떠도는 운명에 쳐해진 듯 한데 결론은 뛰어난 언어임에 불구하고 다른 언어들로 인해 묻혀지는 파워빌더가 매우 안타깝습니다.

 

혹시라도 빠른 생산성을 필요로 하는 업무시스템 개발을 요하는 회사에서 일을 한다고 하신다면 그리고 업무의 볼륨이 크지 않다라고 하신다면 파워빌더도 꽤 괜찮은 언어라고 소개하고 싶습니다. 즉 힘들게 개발해야 할 이유가 없는 수준이라고 한다면 파워빌더는 꽤 괜찮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내부적인 업무시스템 운영이라 한다면 그리고 그것이 CRUD 기반의 수준이라 한다면 말입니다.

 

그리고 국내에 몇몇 개발회사에서 내놓은 개발플랫폼이 있는데 사용해보니 파워빌더의 개념을 녹여서 만든 느낌을 지울 수 없더군요. 디자인이나 플랫폼 및 반응형을 위한 템플릿 제공 등 파워빌더보다 많은 이점이 있지만 단순히 개발이라는 생산성은 파워빌더가 으뜸입니다.

 

다음에는 파워빌더 화면을 통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